본문 바로가기
경제

시가총액이란? 시가총액이란 무엇인가?

by 찌아*@ 2020. 8. 28.
반응형

시가총액이란? 시가총액이란 무엇인가?

주식을 시작하는 분들과 함께 알아보는 주식정보

 

시가총액이란?

지난 3월 한국은행이 1.25%였던 기준금리를 0.75%로 단행하면서 우리나라는 처음으로 제로금리시대로 돌입했고, 한번더 0.5%로 금리 인하가 뒤따르면서 제로금리 시대가 장기화에 들어 서자 투자자들은 유동자금을 주식이나 부동산에 투자를 하게 되었는데요!! 

 

주식에 관심을 갖고 투자를 하면서 자주 접하게되는 용어중 하나가 바로 시가총액이란 용어가 아닐까 싶습니다. 시가총액을 대부분 알고 있을 것 같지만, 주식에 처음 접하신 분들을 위해 시가총액은 무엇인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시가총액이란?

- 주식시장에 상장되어 있는 모든 주식을 시가로 평가한 금액으로 표현한 것으로, 모든 상장종목별로 당일의 종가나 당일의 가격이 없는 경우에는 가장 최근에 매매된 가격에 상장되어 있는 주식의 수를 곱한 뒤 이를 합하여 산출하게 됩니다. 

 

주식시장에서 평가되는 기업의 가치로서, 개별 종목의 시가총액은 그 종목의 '발행주식 X 주가'로 그 회사의 규모를 평가할 때 사용하기 됩니다.

 

예를 들어 주가가 1만원이고, 발행 주식 수가 1백만 주인 종목의 시가총액은 100억원이 되는 것이죠!! 즉 100억원의 자금이 있다고 한면 그 회사를 매수할 수 있다는 의미이기도 합니다. 

 

지금 우리나라 주식 시장을 참고해서 말씀 드리면, 삼성전자의 경우에 현재가는 56,400원 이며 상장주식수는 5,969,782,550주로 현재가와 상장수식수를 곱하면 시가총액이며 그 금액은 336조6957억원 가량됩니다. 쉽게 이야기 하면 336조6천억원만 있으면 삼성전자의 주인이 될 수 있다는 의미가 되지만, 실제로는 최대주주들이 있기때문에 실구매는 어렵긴합니다.

 

삼성전자 시가총액

 

그렇다면 우리나라 주식시장 전체의 시가총액은 얼마나 될까요?

주식시장 전체의 시가총액은 증시에 상장되어 있는 모든 종목의 총 주식을 시가로 평가한 금액으로 전 상장종목별로 그날 종가에 상장 주식 수를 곱한 후 합산을하여 산출을 하는데, 이는 일정 시점에서 주식시장이 어느정도 규모인지를 나타내 주기 때문에 주식시장 규모의 국제비교에 사용하는 방법중에 하나 압니다. 

우리나라의 코스피에 상장된 종목은 약 800여개이며 역대 최고 코스피 종가기준 2598p, 시가총액은 1688조원이 됩니다.

 

여기에 미국 주식과 비교를 해본다면!!

한국에서 시총 1위인 삼성전자를 보았던 것처럼 미국에서 시총 1위인 애플을 비교해보도록 해보겠습니다.

애플의 전일종가 기준 503달러이며, 시가총액은 약 2조 달러이며 이는 한화로 봤을때 대략 2500조가 됩니다. 

 

애플 시가총액

 

우라나라의 주식 시장과 비교를 해보면, 코스피 시가총액이 1700조가 넘지 않아는데 1700조라고 하더라도 애플한개 시총이 우리나라 주식시장의 총 시총보다 많음을 알 수가 있고, 미국 1위 시총과 우리나라 1위 시총인 삼성전자와 비교한다면 애플이 8배가 넘는 시총을 갖고 있다고 할 수 있습니다.  

 

우리나라의 1년 예산이 슈퍼 예산이라고 할정도로 많은 500조를 넘겼는데 극단적으로 말해서 애플을 팔면 우리나라를 5년간 운영할 수 있는 예산이 됩니다. 

 

천조국이란 말처럼 미국의 주식 시장은 어마어마하게 크다는 것을 알 수 있었습니다.

저역시 주식에 대하여 이제 막 시작한 주린이로서 공부하는 생각으로 글을 작성해봤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