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

서울 금천 도봉 영등포 은평 공공주택 후보지 선정 3080주택공급

by 찌아*@ 2021. 3. 31.
반응형

서울 금천 도봉 영등포 은평 공공주택 후보지 선정 3080주택공급

 

서울 금천 도봉 영등포 은평 공공주택 후보지 선정 3080주택공급, 출처: 국토교통부

국토교통부는 3080 주택공급 방안 1차 선도사업 후보지를 선정하였는데요!! 1차 공공주택 서울지역 후보지에 대하여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국토교통부는 2021년 3월 31일 수요일 3080+ 주택공급 방안 1차 선도사업 후보지 선정이라는 타이틀로 보도자료를 발표 하였는데요!! 지난 2.4부동산 대책 밸표 이후 2개월 만에 총 341곳 후보지를 접수하였고, 1차로 서울시의 4개구 21곳을 선청하였습니다. 약 2.5만호 규모로 판교신도시 수준을 공급가능하다고 합니다. 

 


     

    목차

       

       

       


        1. 서울 금천 도봉 영등포 은평 공공주택 후보지_선정배경

      1. 이번 1차 선도사업 후보지는 지자체 제안 후보지 중 공공이 시행 주체가 되는 도심 공공주택 복합사업에 대해 우선 접수한 지자체를 중십으로 입지요건, 사업성요건 등에 대한 검토를 거쳐 우선 선정하였습니다. 

      - 입지요건(범위, 규모, 노후도 등), 사업성요건(토지주 추가수익, 도시계획 인센티브)

       

        2. 서울 금천 도봉 영등포 은평 공공주택 후보지_선정지역

      1. 구체적으로, 금천구 도봉구영등포구 은평구 4개구 제안 후보지 109곳 중 정비사업, 소규모 사업 등을 제외한 도심공공주택 복합사업 62곳의 후보지에 대해 검토하여 총 21곳을 선정하였다고 발표 하였습니다. 

       

      2. 금천구 1곳, 도봉구 7곳, 영등포 4곳, 은평구 9곳을 선정하였으며, 이는 약 2.5만호를 공급할 수 있는 규모라고 합니다. 

       

      가) 금천구 가산디지털역세권 : 대상지 주변에 국가산단과  남부순환도로가 위치하여 도시공간구조가 단절되며 개발되지 못한 채 노후화가 가속되어있었고, 과소토지 비율 등 정비사업 요건이 어려운 상황으로 공공이 참여하여 고밀복합개발 추진함.

       

      나) 도봉구 창동 준공업지 : 대상지는 준공업지역임에도 산업시설이 없이 모두 주거지역화된 이후 정비되지 않았음, 과소 토지 비율 등 정비사업이 충족되지 않아 주민주도 환경개선이 어려워 공공참여로 개발 추진.

       

      다) 영등포 신길동 저층주거지 : 신길뉴타운의 중심부에 위치하였으나 인접지 고밀개발에 불구하고 노후화 진행, 공공이 참여하여 각종 인센티브로 사업성을 개선하고 저소득 주민을 위한 공공자가주택과 공공임대주택으로 공급.

       

      라) 은평구 연신내역세권 : 연신내역, GTX 역세권의 풍부한 주택 수요에도 불고하고, 기존 도시계획으로는 사업성이 낮아 민간개발이 어려워 노후화 가속, 트리플역세권의 잠재력을 바탕으로 공공이 참여하는 고밀개발을 통해 상업기능과 주거기능을 활성화하는 주거 상업족합거점 조성.

       

      서울 금천 도봉 영등포 은평 공공주택 후보지_선정지역, 출처: 국토교통부

       

       

       

        3. 서울 금천 도봉 영등포 은평 공공주택 후보지_주요 위치도 및 개발조감도

      1. 서울 금천구 가산디지털 역세권 사업

      - 위치 : 금천구 가산동 가산디지털 지역 인근.

      - 면적 : 51.497㎡.

      - 도시계획 : 제 2종 일반 주거지역.

      - 기존 용적률 : 116%.

      >> 인접한 역세권 입지 및 G벨리 산업구조 고도화와 연계하여 도심형 주거공간 및 부족한 상업,문화,업무기능을 보충하는 복합시설을 조성할 계획이라고 합니다.

       

      서울 금천구 가산디지털 역세권사업, 출처 : 국토교통부 

      2. 서울 도봉구 방학 역세권 사업

      - 위치 : 도봉구 도봉 2동(방학역) 인근.

      - 면적 : 8,194㎡.

      - 도시계획 : 제 2종 일반주거지역.

      - 기존 용적률 : 147%.

      >> 향후 우이신설 연장선 신설계획에 따라 더블역세권역에 포함될 입지로, 주거,상업,문화 기능을 집약한 고밀 복합공간으로 저성할계획.

      특히, 도봉구 지역생활권에 위치한 주요 역세권 입지인 만큼, 커뮤니티센터 등 도심재생 활성화의 앵커시설 조성 추진합니다.

       

      서울 도봉구 방학 역세권 사업, 출처 : 국토교통부

      3. 서울 영등포구 영등포 역세권 사업

      - 위치 :  영등포구 영등포동(영동포역) 인근.

      - 면적 : 95,000㎡.

      - 도시계획 : 제 2종 일반주거지역.

      - 기존용적률 : 156%.

      >> 역세권+지역생활거점 입지특성과 광역도심의 발전 잠재력을 바탕으로 직주근접 컴팩트시티 조성을 추진합니다.

      대상지 북측의 대중교통 접근성 및 영등포 여의도 도심과 연접된 입지를 고려하여 고층 업무.상업시설을 집중 배치하고, 남측으로 주거단지를 배치.

       

      서울 영등포구 영등포 역세권 사업, 출처 : 국토교통부

      4. 서울 은평구 연신내 역세권 사업

      - 위치 : 은평구 연신내 인근.

      - 면적 : 8,160.

      - 도시계획 : 제 2동 일반, 준주거지역.

      - 기존용적률 : 143%.

      >> 연신내역과 GTX신설역세권의 잠재력을 바탕으로 지구중심 상업기능과 주거기능을 활성화하는 주거상업복합거점 조성합니다.

      아울러, 설계공모를 통해 민간의 창의적 디자인과 아이디어를 반영하여 그린상업기능 강화 및 생활편의 증진을 할계획입니다. 

       

      서울 은평구 연신내 역세권 사업

      5. 서울 도봉구 창동 준공업지역 사업

      - 위치 : 도봉구 창동 674 일대.

      - 면적 : 9,787㎡.

      - 도시계획 : 준공업지역.

      - 기존용적률 : 173%.

      >> 대상지역 주변이 빌라위주 주거공간으로 형성되어 있어, 대상지개발을 통해 부족한 상업.편의.문화시설 등 생활SOC를 설치하여 고밀복합 그린생활 중심지로 조성할 계획입니다. 

       

      서울 도봉구 창동 준공업지역 사업

       

      6. 서울 영등포구 신길동 저층주거지 사업

      - 위치 : 영등포구 신길동 인근(신길4구역).

      - 면적 : 51,901㎡.

      - 도시계획 : 제 2종 일반.

      - 기존용적률 : 135%.

      >> 용적률 상향을 통해 1,200세대 대단지 및 그린공원, 상업시설을 공급하여 신길 뉴타운의 거점기능을 담당하는 주거지역으로 정비할 계획입니다.

      분담금 납입여력이 낮은 저소득 토지주의 재정착을 위해 공공자가주택을 충분히 공급할계획이라고 합니다.

      서울 영등포구 신길동 저층주거지 사업

       

      7. 서울 은평구 불광동 저층주거지 사업

      - 위치 : 은평구 불광동 불광그린공원 인근

      - 면적 : 67,335㎡.

      - 도시계획 : 제1종일반주거지역, 제2종일반주거지역.

      - 기존용적률 : 131%.

      >> GTX역세권의 증가는 주택공급 수요를 충족할 수 있도록 용적률 상향을 통해 1,650여 세대 대단지를 공급할계획입니다. 사업지 동편의 대규모 그린공원 및 북한산 조망과 어우러지는 건축물 배치를 통해 쾌적하고 경관이 우수한 주거공간으로 조성합니다.

       

      서울 은평구 불광동 저층주거지 사업

       

        4. 서울 금천 도봉 영등포 은평 공공주택 후보지_향후계획

      1. 1차 선도사업 후보지 추진계획

      - 토지등 소유자가 사업계획, 사업추진 효과 등을 상세히 이해할 수 있도록 선도사업별 사업설명회를 4월 8일 이후 순차적으로 개최한다고 합니다. 

      - 지자체 등 심층 협의를 통해 세부 사업계획안을 조속히 수립한 후 토지등 소유자 동의(10%) 및 예정지구 지정 추진을 7월에 합니다. 

      - 선도사업으로 선정되지 못한 나머지 사업구역은 사업성 제고를 위한 사업모델 발굴, 도시규제 추가 완화 협의 등 지속적으로 관리할 예정입니다. 

       

      2. 3080+ 사업 통합 추진 일정

      - 검토를 마친 지자체안 선도 후보지를 순차적으로 공개(월별) 실시합니다.

      - 1차 후보지와 마찬가지로 예정지구 지정까지 사업계획 협의등을 지원합니다.

      - 5월에는 주민, 민간업체를 중심으로 민간제안 통합공모를 실시하고, 그 결과를 7월에 공개합니다.

      - 7월에는 동의율(10%)을 확보한 입지를 중심으로 예정지구를 지정할예정입니다.

       

      3080+ 사업 통합 추진 일정, 출처: 국토교통부

       

      국토교통부 3080+ 주택공급 방안 보도자료(링크)

       

       

      대책발표 후 2개월만에 총 341곳 후보지 접수, 1차로 서울 4개구 21곳 선정, 약 2.5만호 규모(판교신

      국토교통부(장관 변창흠)는 「3080+ 대도시권 주택공급방안(‘21.2.4.)」 첫 선도사업 후보지로 금천구, 도봉구, 영등포구, 은평구 등 4개구,총 21곳을 선정하였

      www.molit.go.kr

       

       

      (보도자료)210331(14시이후)3080_주택공급 방안 1차 선도사업 후보지 선정(주택정책과).hwp
      2.25MB
      (안건자료)210331(14시이후)3080 주택공급대책 제1차 선도사업 후보지 발표.hwp
      5.34MB