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규 공공택지 광명시흥 부산대저 광주산성 발표지역 분양일정
국토교통부는 경기 광명과 시흥에 7만가구 규모의 6번째 3기 신도시를 조정하며, 이는 지금까지 나온 3기 신도시 중 최대 규모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이와 함께 정부는 부산 대저와 광주 산정 등 2개의 지방 중규모 공공택지도 확정을 하였는데요, 국토교통부의 '대도시권 주택공급 확대를 위한 신규 공공택지 추진계획'을
2021년 2월 24일에 발표 하였습니다.
[신규 공공택지 광명시흥 부산대저 광주산성 발표지역 분양일정]
1. (총괄) 지자체 협의 등을 거쳐 1차로 수도권 7만호(1곳), 지방권 3.1만호(2곳) 등 약 10만호 (3곳)의 입지를 화정하였습니다.
2. (수도권) 서울과 연접한 광명시흥(1,271만㎡) 신도시에 7만호를 공급합니다.
3. (지방권) 지방 5대 광역시 중 부산대저(243만㎡)에 1.8만호, 광주산정(168만㎡)에 1.3만호를 공급합니다.
(1차 발표 지구 약 10만호 이외 나머지 약 15만호의 구체적인 입지 및 물량은 지자체 협의 등을 거쳐 2분기내에 추가로 공개합니다.)
[]신규공공택지 발표지역 광명시흥 부산대저 광주산정 정리[]
◎ 수도권은 서울 인근 서남부권의 주택공급과 권역별 균형을 감안하고 교통여건 등을 고려해 광명시흥을 6번째 3기 신도시로 선정을 하였습니다.
- 3기 신도시 : 낭양주왕숙(동북권), 하남교산(동남권) 고양창릉(서북권), 부천대장.인전계양(서부권)
◎ 지방권도 주택시장 상황 등을 감안하여 5대 광역시권을 중심으로 중규모 택지 개발을 통한 주택공급을 추진합니다. 부산과 광주를 우선 추진하고 나머지 광역시도 추후 입지를 공개할 예정입니다.
1. 신규 공공택지 발표지역 광명시흥지구(1,271만㎡).
1) 위치는 경기도 광명시 광명동, 옥길동, 노온사동, 가학동 및 시흥시 과림동, 무지내동, 금이동 일대에, 7만호를 공급합니다.
2) 개발구상
- 6번째 3기 신도시로서 서남권 발전의 거점이 되는 자족도시로 조성됩니다.
- 여의도 면적의 1.3배(약 380만㎡) 규모의 공원, 녹지 및 수변공원을 조성합니다.
3) 서울 인근 광명시, 시흥시 등의 발전을 견인하는 서남권 거점도시로 개발합니다.
- 또한 여의도 면적의 4.3배로 3기 신도시 중 최대 규모이며, 1기, 2기 신도시 포함하여 역대 6번째 대규모 신도시로서 자족도시로 조성할 계획입니다.
4) 신도시 내 남북 철도 신설 등을 통한 교통 인프라 확충, 보건.방재.안전 인프라 혁신 등으로 편리하고 안전한 도시를 조성합니다.
- 재난, 교통사고, 범죄 등을 선제적으로 예방하는 스마트 안전기술을 적용합니다.
5) 3기 신도시 중 최대규모인 약 380만㎡(면적의 약 30%)의 공원 녹지를 확보합니다.
6) 교통대책
- 서울 도심까지 20분대 접근이 가능하도록 철도 중심 대중교통 체계 구축합니다.
- 병목구간 해소 등 주변지역 교통여건 개선을 위한 도로 대책을 마련합니다.
- 1.2.7호선, 현재 건설 계획 중인 신안산선, GTX-B, 제2경인선 등을 연결하는 철도 교통망을 구축합니다.
- 고속도로 버스 환승체계 강화, 지구 내 순환 교통체계 구축 등으로 대중교통 체계를 강화합니다.
- 신도시 내외 도로 확장을 통하여 도로구간 정체지점을 해소합니다.
2. 신규 공공택지 발표지역 부산 대저(243만㎡, 74만평)
1) 위치는 부산광역시 강서구 대저동 일대에 1.8만호를 공급합니다.
2) '부산연구개발특구'와 연계한 자족도시 조성을 위해 배후주거지를 공급하고 연접지역에 15만㎡ 자족용지를 배치하여 특구 기능을 강화합니다.
- 자족용지를 지하철 등 교통이 편리한 곳에 집적화하고, 자족용지 인근에 창업지원.청년주택을 배치하여 직주근접 생활환경을 구현합니다.
3) 62만㎡ 규모의 공원.녹지 조성을 통해 낙동강과 연계한 녹지축을 구축합니다.
- 지구 중심의 중앙공원과 낙동강 대저생태공원을 연결하는 녹지축을 조성하고, 지구 내 수로를 활용한 공원도 조성합니다.
4) 교통대책
- 지구 내 부산김해경전철 역사를 신설하여 부산도심 및 김해 방면으로의 대중교통 이용편의성에 증대합니다.
- 명지~에코델타시티를 경유하는 강서선(트램) 확정 시 지구 내 정거장을 설치하여 지구 남측으로의 대중교통 접근성을 개선합니다.
- 국도 14호선 교통량 분산을 위한 대저로 확장합니다.
>> 부산~김해경전철 역사를 설치하여 서면까지 30분내 도착하고, 식만 ~ 사상간 도로 등을 이용하여 부산역 20분내 도착합니다.
3. 신규 공공택지 발표지역 광주산정(168만㎡, 51만평)
1) 위치는 광주광역시 광산구 산정동, 장수동 일대에, 1.3만호를 공급합니다.
2) '광주형 일자리 사업'과 연계한 빛그린산단 등 근로자를 위한 양질의 주거지를 공급하고 스마트 물류. 청년창업 플랫폼을 구축합니다.
3) 다양한 주거 수요를 반영한 자연친화적 주거단지를 조성합니다.
- 자연 순응형 특화설계를 통한 공공주택, 창업주택, 테라스하우스 등 공급합니다.
- 동일 생활권 내 세대가 함께 어우러질 수 있도록 커뮤니티 기능이 강화된 에듀파크 등 소통형 주거환경을 조성합니다.
4) 38만㎡의 공원.녹지 조성을 통한 녹지체계를 구축합니다.
- 지구 내 수남제, 가야제, 산정제 등을 활용한 친수형 테마공원을 조성합니다.
5) 교통대책
- 하남진곡산단로와 도심을 연결하는 도로신설 및 연결IC개량을 통하여 무안광주-호남고속도로 등과의 광역 접근성을 향상시킵니다.
- 도심방향 교통량이 집중되는 손재로를 확장해 광주 도심 접근성을 개선합니다.
- 사업지구와 주요 환승거점(운남역, 광주송정역, 도시철도 1.2호선 등)간 버스 연계체계를 구축하여 대중교통 접근성을 증대시킵니다.
- 손재로 등을 이용하여 광주송정역 20분내 도착, 무진대로 등 이용시 광주광역시청 및 도심지역 20분내 도착하도록 합니다.
신규 공공택지 발표지역 투기방지 방안 및 원주민 재정착 방안
1. 신규 공공택지 발표지역 투기방지 방안
- 공공택지는 주민공람 공고 즉시 개발행위 제한 및 불법행위 방지
- 개발예정지역과 주변지역 등은 토지거래허가구역으로 지정합니다.
- 개발예정구역 및 인근지역에서 발생하는 이상거래 및 불법행위 등 투기 수요에 대한 실거래 기획 조사 및 현장점검등을 강화합니다.
2. 신규 공공택지 발표지역 원주민 재정착 방안
- 대토보상 활성화 및 주민 참여형 개발 추진합니다.
- 주미넌호 등을 고려한 이주자 택지 공급, 협의양도인 주택 특별공급, 공공임대주책 임시 사용 등을 통한 재정착을 지원합니다.
3. 신규 공공택지 발표지역 추진일정
- 1차 신규 공공택지는 2025년 부터 순차적으로 입주자모집(분양)개시.
- 22년 상반기 지구지정 완료.
- 23년 지구계획 > 25년 입주자 모집 개시 합니다.
'정책' 카테고리의 다른 글
코로나19 피해 소상공인 정책자금 직접 신청방법 홈페이지 (0) | 2021.03.04 |
---|---|
4차 재난지원금 대상 신청방법 최종정리(특고, 택시, 대학생, 노점상 등) (0) | 2021.03.01 |
서울시 전기차 보조금 신청방법 지원금액 (0) | 2021.02.23 |
개인안심번호 발급 바로가기 발급방법 카카오톡 네이버 (0) | 2021.02.20 |
충북 3차 재난지원금 소상공인 택시기사 신청방법 홈페이지 (0) | 2021.02.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