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

2020 코리아세일 페스타 할인품목(11월 1일 ~15일)

by 찌아*@ 2020. 9. 28.
반응형

2020 코리아세일 페스타 시작 11월

2020 코리아세일 페스타 할인품목

 

 

2020년 코리아 세일 페스타

 

코리아세일 페스타란?

지난 박근혜 정부에서 시작한 행사로서, 2015년 이후 매년 가을에 시행되는 상품 및 서비스 할인 생사입니다. 2015년 대한민국 메르스 유행으로 내수시장이 침체, 경제불황이 가중되자 소비진작을 위해 시작였으며, 미국의 블랙프라이데이를 롤모델로 시작한 프로젝트입니다.

 

행사 초기 미국의 것을 그대로 따와 '코리아 블랙프라이데이'라 불렀으며, 정부 차원의 지침만 있었을 뿐 이렇다 할 홍보 전략이 없어서 자체 로고도 없었꼬, 기업의 참여도 저조했었다. 그래서 초기에는 별다른 경제적 효과를 보지 못해, '전시행정'이라는 비난을 받아야 했다.

 

코세페, 출처 :  정책브리핑

2020 코리아세일 페스타

제조. 유통. 서비스 기업, 국내외 소비자 등 전 경제주체가 참여하고 정부 부처, 17개 시도가 지원하는 법국가적, 글로벌 행사 '힘내요 대한민국! 2020 코리아세일페스타'가 11월 1일부터 15일까지 열립니다.

 

코리아세일 페스타 일정 : 2020년 11월 1일부터 2020년 11월 15일 까지.

 

이번 행사는 '엄지척'챌린지를 활용, 소비자와 기업이 함께 'win-win' 할 수 있는 소비와 판매를 통한 위기극복 및 경기 반등을 응원하는 행사로 4대 지원방향으로 진행됩니다.

- 연대와 협력을 통한 소비회복.

- 소상공인과 함께 지역경제 회복.

- 온라인 비대면 행사 강화.

- 글로벌 문화쇼핑 행사로 도약.

 

먼저 연대와 협력을 통해 소비 회복 지원을 위해 철저한 방역 준비 및 국민 불안감을 해소하고 유통(특별할인전), 금융(캐시백 지급), 배송사(배송료 인하)뿐만 아니라 제조사의 적극참여(기획생품 출시 등)를 통해 할인 여력을 제고합니다.

 

소상공인과 함께 지역경제 회복에 기여하기 위해 소상공인 라이브커머스.온라인 기획전, '브랜드 K'매장할인, 백화점.마트의 입점 중소업체에 대한 팔매수수료 인하 등을 추진하고 17개 광역시도특산품 및 전통시장, 지역 중소기업 제품 판촉 행사 등을 통해 골목상권. 지역경제 회복을 지원합니다. 

 

행사명  행사내용
정부 농축산물할인 온라인 쇼핑몰 연계, 농축산물 20% 할인(농식품부)
한우할인, 구매영수증 이벤트, 한우사랑상품권(농식품부)
김장철 맞이 보쌈용 한돈 30%할인(농식품부)
계란 온오프라인 할인 판매전(농식품부)
수산물 할인 1인당 20% 최대 1만원 수산물 할인쿠폰 발행(해수부)
지자체 전통시장 상점가 전통시장,상점가 등 골목상권 할인행사(전 지자체)
지역행사
연계판촉
지역 내 중소기업 제품 판촉행사(서울, 부산, 경기, 충남, 경남, 전북, 전남, 제주)
김장축제(광주세계김치 랜선축제, 전북 김장 재료 드라이브스루 판매전 등)
지역상품 온라인 할인 민간 온라인 쇼핑몰에 지역 중소기업 상품 지획전 운영
지자체 운영 온라인 쇼핑몰 할인(울산몰, 남도장터, 강원마트)
전통시장 온라인 몰 활성화를 위한 경품 이벤트(대전)

또한 사회적기업 제품의 판매 지원, 소외계층 및 공익단체에 대한 수익금 전달 등 기부문화도 확산합니다. 

 

온라인 비대면 행사를 중심으로 추진하기 위해 오프라인 유동사의 온라인 행사병행, 민간 오픈마켓 기획전, 가치삽시다 등 공고을랫폼 적극 가동 등 온라인 행사를 강화하고 오프라인 행사에도 라이브커머스 판촉행사 도입, 드라이브스루 판매 등 비대면 판매 방식을 확대합니다. 

 

아울러 빅데이터 등 신기술 서비스를 적극 활용한 판촉 소비 편의 확산, 드론 로봇배송, 서빙로봇 등 비대면 소비이 미래비전도 제시합니다.

 

또한 행사기간 국제특급우편(EMS)요금할인(최대30%)등으로 해외 소비자 참여를 유도합니다. 

 

또한 정부는 '힘내요 대한민국! 2020 코리아세일페스타'의 홍보를 위해 전문 홍보기획사를 통한 홍보 기획 및 홍보모델(강호동)초상권, 코세페 이미지 활용지원 등 기업의 참여확대를 유도하고 공식 폼페이지 코세페 홈페이지 및 공식 SNS운영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