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

[자원 1.] 지하자원의 생성 과정 경제적 가치

by 찌아*@ 2020. 9. 22.
반응형

지하자원의 생성과정과 경제적 가치

지하자원

 

이제부터 연제할 내용은 우리가 사용하는 자원에 대하여 시리즈로 포스팅을 준비하도록 하겠습니다. 자원 시리즈물의 첫번째는 바로 지하자원이 되겠습니다. 

 

흔히 21세기는 자원을 확보하는 나라가 세계를 이끌수 있다고 합니다. 그래서 자원은 문명이고 자본이며 나아가 미래의 먹거리이자 산업, 우리의 생존 무기라고 까지 말합니다.

 

과연 미래에는 첨단 기기가 주도적인 역할을 하게 되겠지만 이런 말들이 나오는 이유는 무엇일까요? 자원의 종류과 우리 생활에 이용되는 자원이 어떻게 생성되어 개발되고 있는지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지하자원

 

1. 자원이란?

 

자원이란 인간에게 유용하고 가치 있는 물질 및 에너지로 쓸 수 있는 원료를 말합니다. 

땅속에 묻혀있는 재취 가능하고 쓸모 있는 자원인 지하자원은 넓은 뜻으로는 토양, 지하수, 온천, 광물 등이 포함됩니다. 하지만 우리가 대부분 이해하는 자원의 뜻은 좁은 의미를 갖으며 그것은 에너지 자원, 금속 광물, 비금속 광물 등이 있습니다. 

 

에너지 자원: 우리의 일상생활과 경제활동을 여위하기 위해 사용하는 연료인 석유와 석탄, 천연가스.

 

광물자원: 자연에서 산출되는 균질한 결정질의 고체인 형태로 구성된 금속 광물자원과 비금속광물자원으로 나뉩니다.

- 금속광물자원: 철, 알루미늄, 구리, 금, 은, 아연 등과 같이 금속이 주성분으로 함유된 광물을 말한다. 이 금속광물은 금속을 뽑아내어 이용하기 위해서는 광석을 제련하는 과정이 필요합니다.

- 비금속광물자원: 석회석, 고령토, 점토, 운모, 장성 등 비금속 원소로 이루어진 광물을 말한다. 비금속 광물은 따로 제련 과정을 거치지 않고 이용할수 있으나, 필요한 성분을 분리하거나, 이용하기 쉽게 분쇄하는 과정이 필요합니다.

 

지하자원

 

우리의 일상생활이나 산업에는 에너지 자원 뿜만아니라 금속과 비금속 광물 자원이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습니다. 자동차 한대를 만드는 데에는 철이 가장 많이 사용되지만 특수 재질의 엔진, 강화유리, 최첨단의 내비게이션, 자동제어 장치 등을 만들기 위해 다양한 광물 자원이 사용됩니다. 이처럼 지하자원은 기초 산업의 원료부터 비행기, 선박, 자동차, 반도체 등 최첨단 소재 제품의 원료까지 그 이용 범위가 대단하게 넓습니다. 

 

이런 광물을 비롯한 지하자원의 확보와 기술 개발은 기초 산업의 근간이 되는 일입니다. 

 

2. 자원의 생성과정 및 개발

탐광 > 채광 > 선광 > 재련

 

현재 화석 연료들은 세계의 산업에 소모되는 모든 에너지의 90%가량을 공급하고 있는 거대한 자원입니다. 화석 연료를 포함하는 새로운 퇴적층이 계속해서 발견되고 개발하고 있기는 하지만, 지구 상에 있는 주요 화석 연료들의 매장량은 제한되어 있습니다. 경제적으로 개발이 가능한 양은 화석 연료의 예상 소비율, 미래의 가치 및 기술 발달에 따라서 유동적이므로 측정이 어렵지만 자원이 유한성을 고려하면 지속적으로 공급하는 것은 불가능하다고 봅니다. 

 

이런 자원확보가 전 국가의 중요한 사항이며, 상업화에 따른 세계적 자원 소비량이 급격히 증가하면서 자원을 선점하려는 경쟁은 석유 뿐만아니라 최근에는 희토류라는 최첨단 제품에 들어가는 소재, 그리고 리튬 등이 있습니다. 

 

 

지하자원

특히 최근, 미래 산업을 이끌어가는 첨단 산업에 쓰이는 자원인 희토류나 리튬은 석유와 철광 광물과 함께 매우 중요한 광물원으로 꼽히고 있어 뉴스에 종종 등장하기도 합니다. 

 

하지만 이런 대부분의 광물 자원들은 전량 외국에서 수입하고 있는 것이 우리나라의실정입니다. 때문에 우리나라는 광물 자원의 보유국들과의 관계를 긴밀하게 강화를 하며 안정적인 광물 자원 확보에 힘을쓰고 있으며, 뿐만아니라 이런 천연 자원의 발굴 및 개발도 필요하다고 봅니다. 

 

때문에 우리나라는 미래 수요에 대비하여 광물자원확보에 심혈을 기울이고 있으며, 에너지 사용 현황과 올바른 에너지 정책 수립을 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자원의 빠른 고갈과 늘어나는 사용양을 적절히 조절해서 후대에까지 이어질 수있는 자원계획이 이뤄지기를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