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주휴수당을 받으려면? 계산방법 주휴수당 조건은?

by 찌아*@ 2022. 10. 14.
반응형

주휴수당에 대해서 많이들 알고 계실 거라 생각합니다. 근로자가 유급 주휴일에 받는 수당으로, 일주일에 15시간 이상 근무하는 모든 근로자가 적용을 받는 수당체계입니다. 한 주에 15시간 이상을 일하는 근로자가 유급휴일에 받는 돈으로, 임금 지불 형태에 따라 방식엔 차이가 있습니다. 

 

주휴수당을 받으려면? 계산방법 주휴수당 조건은?

주휴수당을 받으려면? 계산방법 주휴수당 조건은?

주휴수당을 좀더 자세히 풀어보면, 일주일간 열심히 일을 하고 개근을 한 노동자가 유급휴일에 받는 돈인데요, 근로기준법에 따르면 사용자(즉 사장)는 근로일과 같은 하루치 임금을 지급해야 하는데 이를 주휴수당이라고 합니다. 주휴일과 주휴수당은 아르바이트, 임시직, 계약직 등 근로 형태와 관계없이 일주일에 15시간 이상 일하는 근로자라면 적용이 되고, 5인 미만 사업장도 마찬가지로 적용이 됩니다. 

 

2023년도 최저시급이 아쉽게도 만원까지는 아니지만 9,620원으로 월급으로 계산하면 2,010,580원으로 결정이 되었습니다. 막연히 주는 수당이라고 해서 얼마를 받게 되는지 잘 모를수 있을 텐데요, 내가 받을 수 있는 주휴수당이 얼마인지 확 이해 보는 방법과 주휴수당과 관련하여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주휴수당은 위에서 말한 것처럼 일주일에 15시간 이상 일하는 근로자에게 유급휴일을 주는 것으로 보면 되는데요, 주휴일에는 일정 임금을 별도로 선정해서 지급해야 하는 내용입니다. 

 

다만, 모든 사람들이 받을수 있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일정의 조건이 필요합니다. 

1) 1주간 근무시간이 15시간 이상이어야 합니다. 

기본적으로 월급제로 일하는 직장인이라면 급여에 유급휴일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하지만 단기로 근무하는 근로자의 경우 반드시 1주일에 일한 시간이 총 15시간을 초과해야 합니다. 

2) 근로계약서에 명시된 근무 일수와 근로 시간을 성실히 이행해야 합니다. 성실히라는 것은 개근을 의미하며, 만약 근로하기로 한날짜 중 일주일에 하루를 결근하게 되면 결근한 하루의 임금과 주휴수당 역시 지급을 받지 못하게 됩니다. 단, 직장에서 지정한 연차나 월차를 쓰는 것은 주휴수당과 상관없이 사용 가능합니다. 

이렇게 법적으로 정해져 있지만, 아직도 주휴수당을 지급하지 않고 있지 않고 있는 곳이 많다고 합니다. 근로자들 역시 인식을 하지 못하는 분들이 계실텐데요, 법적으로도 주휴수당을 지급하지 않은 고용인이게 근로기준버에 따라 2년 이하의 징역 또는 1천만 원 이하의 벌금을 받을 수 있습니다. 

 

주휴수당 = 한주 총 평균 근로시간 * 4주/20일 *그당시 시급으로 계산합니다. 계산방법과 예시들이 상당히 많지만 그래도 직관적으로 계산을 할 수 있는 계산기가 있습니다. 

 

>>>>>>>>>>주휴수당계산 바로가기<<<<<<<<

 

주휴수당을 받지 못하는 경우라면?

1. 주중에 입사를 했을 경우, 그 주에는 주휴수당이 발생하지 않습니다. 또한 그 주에 하루 이상의 결근이 있다면 주휴 슈 당을 받을 수 없습니다. 다만, 사업주의 지시에 따라 발생하는 결근은 해당하지 않으며, 자주 지각이나 조퇴를 했더라도 결근으로 간주할 수는 없다고 합니다. 또한 주휴수당을 받으려면 다음 근로가 예정되어야 합니다. 따라서 마지막 근무 주에 대해 주흇당이 지급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