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정책

화이자 백신 접종 주의사항 부작용 국가보상제도 정리

by 찌아*@ 2021. 6. 23.
반응형

코로나19 백신접종은 코로나19에 걸리지 않도록 면역력을 길러주는데 도움을 주는 예방주사 입니다. 다만, 신체가 면역력을 구축하고 있다는 정상적인 징후와 비정상적인 징후 등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는데요, 이번 포스팅은 7월부터 예방접종 대상자들은 많은 분들이 화지아 백신을 접종한다고 하는데 주의사항과 부작용 등 그리고 국가보상제도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화지자 백신 접종 썸네일
화이자 백신 접종 주의사항 부작용 국가보상제도 정리

 

화이자 백신 접종 주의사항 부작용 국가보상제도 정리

화지자 백신은 핵산 백신(mRNA)으로 코로나19 바이러스의 표면항원 유전자를 RNA형태로 몸에 주입하여 체내에서 표면항원 단백질을 생성해 면역반응을 유도하는 최신의 기술로 만들어진 백신입니다. 생백신이 아니기 대문에 백신이 코로나19 감염을 유발하지는 않습니다. 

 

화이자 백신인 핵산 백신은 전염병에 대한 보호 기능을 제공하는 새로운 유형의 백신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화지자 백신은 21일 간격으로 2회 접종을 해야 하는 백신이며, 미국에서는 화이자 백신 권고 대상은 12세 이상으로 알려져 있지만, 아직 우리나라의 경우 18세 미만은 좀더 신중하자는 분위기입니다. 

 


[목차] 

1. 화이자 백신 접종 주의 사항 부작용 국가보상제도 정리 : 접종 전 주의 사항

2. 화이자 백신 접종 주의 사항 부작용 국가 보상제도 정리 : 접종 후 주의 사항

3. 화이자 백신 접종 주의 사항 부작용 국가 보상제도 정리 : 부작용 및 이상반응은?

4. 화이자 백신 접종 주의 사항 부작용 국가 보상제도 정리 : 이상반응이 나타날경우

5. 화이자 백신 접종 주위 사항 부작용 국가 보상제도 정리 : 국가보상제도 정리


 

 

1. 화이자 백신 접종 주의 사항 부작용 국가보상제도 정리 : 접종 전 주의 사항

 1) 건강상태가 좋을 때 코로나 백신 접종을 받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2) 접종 전 반드시 의사의 예진을 받아야지, 예진없이 주사만 맞으면 안됩니다. 

 

 3) 예방접종을 하지 말아야할 상황은 다음과 같습니다. 코로나 백신 성분에대한 아나필락시스와 같은 심각한 알레르기 반응이 나타난 경우, 또는 1차 코로나19 예방접종 후 아나필락시스와 같은 심각한 알레르기 반응이 나타난 경우. 아나필라시스는 호흡곤란, 얼굴의 부기, 눈 또는 입술/입안의 부종, 몬 전체의 발진, 빠른 심장 박동, 현기증, 쇼크 등의 증상을 동반한 심각한 알레르기 반응이라고 알려져 있습니다. 

 

 4) 임신부와 18세 미만 소아청소년의 경우 백신접종 후 안정성 및 유효성에 대한 임상연구 결과가 나오기 전까지 접종이 권고되지 않는다고 합니다. 추후에 연구와 전문가들의 의견을 취합하여 변경 가능성은 있다고 합니다. 

 

 5) 접종을 연기해야 할 상황으로, 첫번째 코로나19 감염이 의심되는 경우 선별진료소 등을 통해 신속히 진단검사를 받아야 하고, 결과가 나올때까지 접종을 연기합니다. 발열(37.5℃)등 급성병증이 있는 경우 증상이 없어질 때까지 접종을 연기해야 합니다. 

 

2. 화이자 백신 접종 주의 사항 부작용 국가 보상제도 정리 : 접종 후 주의 사항

 1) 너무나도 당연한 일이지만, 지키기 힘든 내용일 수 있습니다. 예방접종 후 30분간 접종기관에 머물러 이상반응 발생 여부를 관찰해야 합니다. 

 

 2) 예방접종 후 3시간 이상 주의 깊게 관찰해야 합니다. 

 

 3) 예방접종 후 4주간은 특별한 관심을 갖고 관찰해야 하며, 평소와 다른 신체 증상이 나타나면 바로 의사의 진료를 받도록 해야 한다고 합니다. 

 

 4) 예방접종 후 2일 정도는 고강도 운동 및 활동, 그리고 음주를 삼가야 합니다. 

 

 5) 특히 어르신들의 경우, 예방접종 후 혼자 있지 말고 다른 사람들과 함께 2틀이상 있으면서 이상 증상 발생시 도움을 받어야 합니다. 

 

3. 화이자 백신 접종 주의 사항 부작용 국가 보상제도 정리 : 부작용 및 이상반응은?

즉각적 알레르기 반응은 두드러기, 부기, (호흡곤란) 쌕쌕거림과 같은 증상을 포함하여 백신 접종 후 4시간이내 나타난다고 합니다. 

 

화이자 백신의 경우 예방접종후 7일 이내에 발생하는 부작용이 흔히 보였지만 대부분 경미한 수준이였다고 하고, 화지자의경우 1차 접종보다 2차 접종이 힘들다고하는데요, 열, 오한 피로 두통 등이 더 흔하게 나타난다고 합니다.

 

 1) 코로나 예방접종 후 국소반응으로 접종부위 통증이나 부기, 발작 등 이 있으며, 전신반응으로 발열, 피로감, 두통, 근육통, 메스꺼움, 구토 등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접종후 흔히 나타나는 반응으로 대부분 2~3일 이내 증상이 사라진다고 합니다. 

 

 2) 드물게 호흡곤란, 얼굴의 부기, 눈또는 입술/입안의 부종, 몸 전체의 발진, 빠른 심장박동, 현기증, 쇼크 등의 증상을 동반한 심각한 알레르기 반응인 아나필락시스 증상이 나타날 수 있기 때문에 4주간 본인의 몸상태를 유심히 지켜봐야 합니다. 

 

4. 화이자 백신 접종 주의 사항 부작용 국가 보상제도 정리 : 이상반응이 나타날경우

이상반은 발생이 의심될 경우 1339 또는 관할 보건소에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1) 예방접종 후 도움이 되는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첫 번째로 예방접종 후 접종 부위 부기 및 통증이 있는 사람의 경우에 깨끗한 마른 수건을 대고 그위해 냉찜질을 해야 합니다.  두 번째로 접종 후 미열이 있는 경우 충분히 수분을 섭취하고 휴식을 취해야 합니다. 세 번재로 발열이나 근육통 등으로 불편함이 발생한 경우 해열진통제를 복용하면 되는데요, 아주 대중적인 진통제 약으로 타이레놀을 드시면 되는데 굳이 타이레놀이 아니여도 아세트아미노펜 단일 성분으로 되어 있는 해열 진통제면 모두 완화 시키는데 도움이 된다고 합니다. 

 

 2) 의사의 진료를 다시 반야아 할 경우, 첫 번째로 예방접종 후 접종 부위의 통증, 부기, 발적이 48시간 이후에도 악화 되는 경우/ 두 번째로 접종 4주  이내에 호흡곤란, 흉통, 지속적인 복부 통증 다리의 부기와 같은 증상이 나타난 경우/ 세 번째로 접종 후 2일 이상 지속적인 두통이 발생하며, 진통제에 반응하지 않거나 조절되지 않는 경우 또는 시야가 흐려질 경우/  네 번째로 접종 후 갑자기 기운이 떨어지거나 평소와 다른 이상 증상이 나타난 경우/ 다섯 번째로 예방접종 후 접종 부위가 아닌 곳에서 멍이나 출혈이 생긴경우 즉시 상급병원 응급실을 방문 하시기 바랍니다. 

 

5. 화이자 백신 접종 주위 사항 부작용 국가 보상제도 정리 : 국가보상제도 정리

코로나19 예방접종으로 인하여 이상반능이 발생할 경우 '감염병이 예방 및 관리에 관한 법률'예 따라 피해에 대한 국가보상제도를 운영하고 있다고 합니다. 이상반응 발생이로부터 5년 이내 신청이 가능하며, 피해조사 및 예방접종피해보상 전문위원회의 심의를 통해 인과성이 인정되는 경우 보상을 받을 수 있다고 합니다. 

 

예방접종으로 인해 피해를 입었다고 의심될 경우 주소지 관할 보건소에서 신청이 가능합니다. 자세한 사항은 관할 보것소에 문의하시거나 코로나19 예방접종 홈페이지(https://ncv.kdca.go.kr)를 방문하의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코로나19 백신 및 예방접종

질병관리청 코로나19 백신 및 예방접종 정보안내

ncv.kdca.go.kr

 

 

참고할 만한 내용 포스팅 정리

코로나 백신 하반기 접종 계획 50대 40대 30대 등 총정리

 

코로나 백신 하반기 접종 계획 50대 40대 30대 등 총정리

그동안 우리 정부는 과학적인 근거를 기반으로 안전한 접종을 실시하며 국민의 생명과 건강 보호를 위하여 코로나 백신 예방접종을 실시하고 있습니다. 우리나라의 코로나 백신 접종 목표는 전

korea-policy.tistory.com

코로나 백신 예방접종자 사회적 거리두기 6월 이후 방안 총정리

 

코로나 백신 예방접종자 사회적 거리두기 6월 이후 방안 총정리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는 '예방접종 완료자 일상 회복 지원 방안'에 대한 내용을 발표하였습니다. 이번 내용은 예방접종이 본격적으로 실시되에 따라, 개인과 집단의 방역 수준을 합리적으로 조

korea-policy.tistory.com